카테고리 없음

교실 속 평화놀이

apuj 2024. 2. 13. 13:13


허승환 선생님은 초등 교사들에게는 유명인이다. 초등 교육자료 사이트인 예은이네 의 운영자로 잘 알려져 있다. 전국적인 연수의 강사로도 활동을 했으며, 수업이나 학급운영과 관련된 책을 몇 권 집필하기도 했다. 이보라 선생님은 내 실력이 미흡하여서 그런지 아직 제대로 파악을 하지는 못하고 있다. 참샘으로 알려진 김차명 선생님은 인디스쿨의 운영진으로 그림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 책의 그림 대부분이 김차명 선생님의 그림인 듯 하다.이 책은 교실에서의 평화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평화에 대한 정의를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하면 평화에 대해서 생각을 하고, 평화로운 학급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우선 교실에서는 학생들에 대한 생활지도(고자질하는 아이, 뒷담화하는 아이, 잦은 싸움을 하는 아이, 짝 바꾸는 방법 등), 학교 폭력에 대한 이야기 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평화교육이 결국 아이들의 자존감과 소속감과도 연결이 되어 있을거라 보고 그에 대한 학급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소개해 준다. 이에 더해 교실에서의 평화교육을 교실 밖으로 넓혔던 경험을 알려주고 있다.허승환 선생님은 고학년의 담임을 하며 학생들과 다양한 경험을 한 것 같다. 학생들과 많은 소통을 하며,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마음을 이해해줄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서로 서로 공감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생활을 하는 것 같다. 책에 나와 있는 자료는 그렇게 만들기 어렵지는 않아보이지만, 상황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한 때때로 보이는 아이들의 얼굴도 좀 밝은 것 같아 보인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저학년에 대한 적용이 쉽지 않을 듯 하다는 것이다. 자료 양식을 봐도 고학년에게 적합해 보인다. 아마 저학년에게는 조금 더 쉽게 수정을 해야할 듯 하다.2, 3단원이 허승환 선생님이 집필을 하였다면, 4단원은 이보라 선생님이 집필한 듯 하다. 2, 3단원의 편집 방법과 4단원의 편집 방법이 달라 보이기에... 4단원은 어떤 수업을 위한 관련 단원을 제시하고 수업을 어떻게 진행을 했는지 알려주고 있다. 이전의 허승환 선생님과는 다른 전개 방식이기에.이 책은 요한 칼텅의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를 아우르는 평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주고 있는 듯 하다. 학급 내에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위해주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그 상황에서 자존감과 학급 내 소속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교실 밖으로 나아갈 수 있는 평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기에...여기의 몇 가지 방법은 우리 학급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듯 하다. 특히 고자질과 알리기에 대한 지도와 짝을 바꾸는 방법은 해 봐야 할 듯 하다. 아마 우리 반에서도 평화가 조금은 찾아올 듯 하다.


머리말
교실 속 평화놀이를 시작하며
평화를 그리다

PART 1 ‘평화’란 무엇인가?
01 모두가 사랑받는 평화로운 세상
02 평화감수성을 기르기 위한 4가지 제언

PART 2 교실에서 시작하는 ‘평화교육’
01 평화를 교실에 정착시키기 위한 준비
02 친절한 교사입니까? 무서운 교사입니까?
03 자주 고자질하는 아이의 지도
04 학교폭력 예방의 시작, 욕설 지도
05 뒷담화 지도, 어떻게 해야 할까?
06 아이들의 잦은 싸움을 해결하는 두 가지 방법
07 교우관계 조사표 활용하기
08 가장 공평한 짝 바꾸기
09 체육시간, 피구 경기로 본 ‘평화’
10 인터넷 교실 속 사이버 학급평화

PART 3 자존감과 소속감 고양을 통한 교실 속 평화교육
01 교실에서 자존감과 소속감을 키우기
02 자존감을 키워 주는 「장점 쇼핑몰 게임」
03 자존감을 키워 주는 「100가지 나의 장점 프로젝트」
04 서로가 서로의 장점을 채워 주는 「감정파이 게임」
05 「단점 손바닥 뒤집기」 프로젝트
06 소속감을 키워 주는 반짝 아이디어들
07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5가지 평화놀이

PART 4 교실 밖으로 더욱 넓어지는 평화교육
01 우리 반 평화수업
02 「달걀 껍질을 깨고」
03 예술과 함께하는 평화수업
04 평화를 위한 표현 「사진놀이」
05 「통일놀이」로 남북한 이해하기
06 「순위놀이」가 가르쳐 주는 협동과 평화
07 빅데이터와 함께하는 평화수업

*PART1~PART3은 허승환 선생님이, PART4는 이보라 선생님이 집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