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말엔 표준말과 사투리,또한 방언도 있다 이에 대한 세세한 구분과 그 예를 저자의 책속, 고향속으로 들어가 본다 먼저 방언과 사투리 사이의 관계인데 지역적으로 협소하면서도 한정된 지역에 사용하는 말을 사투리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면 방언은 항상 표준말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면서 여러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말이다 *강상언 박사님의 강의 속엔 사투리란 "k"음이 묵음화된 상태가 사투리고 원래는 크샤트리아에서 어원을 가지고 있고 아주 옛날 왕족이나 귀족들이 사용한 말이라고 하다 즉 산스크리트어로서 어원을 설명하신다 그러면 현재 사투리의 범주의 말들은 역사적으로 고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말속에 역사가 담겨있다란 말은 한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우리말과 글자속에 우리의 역사와 고향과 철학이 녹아있기 때문이다 1.방언과 사투리(정의) 2.방언과 사투리(사용범위) 3.방언의 예(나락)
20여 년 동안 방언을 연구해온 저자가 방언의 소중함과 그 가치를 전하기 위해 집필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방언에 문화재의 개념을 도입해 국보급 방언의 어원을 풀이한다. 이를 통해 방언도 귀중한 문화유산이라는 인식을 제고하려 노력한다. 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방언의 경우에는 그 지역 문화를 아는 현지인의 생생한 글을 실어 독자들에게 정확한 방언 정보를 제공한다. 내고향 방언 이나 방언도서 평론 은 자기의 고향말을 찾을 수 있게 해주고, 기존 방언 도서의 오류를 바로잡는 고유의 꼭지들이다. 그 밖에도 사진, 독자와 소통하는 장 등이 곁들여져 보다 능동적인 방언 입문을 돕는다.

머리말

1. 방언의 이해
2. 뿌리 깊은 방언
3. 호칭어에 관한 방언
4. 표준어와 방언, 참 헷갈리는데…
5. 방언 도서 평론
6. 속담방언(경남 중심) 속의 보물 찾기
7. 방언 일화
8. 방언의 분화와 미분화
9. 방언에 미치다
10. 방언학자들은 왜 오류를 범하는가?
11. 독자와 소통하는 방언마당
12. 사진으로 보는 내 고향 방언